1. 개요
Winget은 Microsoft에서 개발한 패키지 관리자로,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해 자신의 컴퓨터에 깔린 응용 프로그램들을 업데이트하거나 제거, 설치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Microsoft Store에서 앱 설치 관리자라는 이름으로 배포되고 있다.
여기서는 그 중 몇 가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명령 프롬프트를 열고
winget
이라 입력하면
도움말이 나온다.
여기서 소개되지 않은 내용은 이것을 통해 확인하도록 하자.
2.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들의 종류 및 앱 패키지명 확인
winget list
라 입력하면 사진과 같이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이 뜬다.
이때 사진과 같이 정보가 나열되는데, 이를 통해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의 이름, 장치 ID, 현재 버전, 업그레이드 가능한 버전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3. 응용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업데이트)
winget upgrade
winget update
두 명령문 중 하나를 입력하면 업그레이드(업데이트) 가능한 프로그램들의 목록이 뜬다.
"winget update" 명령어는 "winget upgrade"의 명령 별칭으로, 원하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는 Python을 업그레이드(업데이트) 해보자.
아래의 예문 중 하나를 입력한다.
winget upgrade "Python 3.10.4 (64-bit)"
winget upgrade --id "Python.Python.3"
두 명령줄의 차이는, 위의 명령줄은 응용 프로그램의 이름을 입력하여 업그레이드(업데이트)를 실행하는 것이고,
아래의 명령줄은 패키지 ID를 입력하여 업그레이드(업데이트)를 실행하는 것이다.
만약 둘 중 한가지 방법으로 업그레이드(업데이트)가 되지 않는다면 나머지 한 방법을 이용한다.
해당 명령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파일을 다운받고 실행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4. 응용 프로그램 설치
Winget을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원하는 프로그램명을 정확히 알기 위해, 예를 들어 notepad를 검색해본다.
winget search "notepad"
를 입력한다.
표시되는 목록 중에서 'notepad++'를 설치해보도록 하자.
이 프로그램은 많은 기능을 가진 텍스트 에디터이다.
winget install "notepad++"
winget install --id "Notepad++.Notepad++"
중 하나를 입력한다.
둘의 차이는 전자는 프로그램의 이름을, 후자는 장치 ID를 입력한 것이다.
이름에 띄어쓰기가 있으면
Winget <옵션> "띄어쓰기 있는 패키지 이름"
과 같이 '"'을 입력하거나 장치 ID를 이용하자.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응용 프로그램 삭제
Winget을 이용해 응용 프로그램을 삭제한다.
방금 설치한 notepad++을 삭제해보자
winget uninstall "notepad++"
winget uninstall --id "Notepad++.Notepad++"
두 명령어 중 하나를 입력한다.
정상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서 몇몇 기본 설치 프로그램 또한 삭제할 수 있다.
6. 패키지 정보 표시
'winget show [프로그램명 / 장치 ID]'를 입력하면 해당 패키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뜬다.
winget show "[프로그램명 / 장치 ID]"
이와 같이 Winget을 이용하면 일일히 찾아서 설치를 관리하는 것보다 편리하게 패키지를 설치 / 삭제하고 최신 버전으로 유지할 수 있다.
Winget의 사소한 단점은 개발자가 별도로 설정해 두지 않는다면 설치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되어 사용자가 개인설정할 수 없다는 것으로, 이를 원하지 않는다면 수동설치해야 한다.
여담
Winget을 이용하여 Cotana와 같은 Windows 기본 탑재 앱을 제거할 수 있다.
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package-manager/winget/
https://www.microsoft.com/store/productId/9NBLGGH4NNS1
'컴퓨터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 스케줄러를 이용한 Windows 부팅 시 프로그램 자동 시작 (2) | 2022.11.17 |
---|---|
ASSOC(파일 확장명 연결)를 이용하여 연결 프로그램 설정 (0) | 2022.10.06 |
안전 모드 (0) | 2022.09.08 |
Chkdsk를 이용한 디스크 파일 시스템 검사 (0) | 2022.08.25 |
VirtualBox Windows 9x 설치 & 부팅 오류 (잘못된 연산을 수행하여..) (1) | 2022.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