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9 Windows 메모리 진단 도구를 이용하여 메모리 문제 진단하기 Windows 메모리 진단 도구는 Windows의 내장 유틸리티로, 컴퓨터에 장착된 RAM의 문제를 진단하기 위한 도구이다. 컴퓨터에 문제가 생기는 원인은 다양한데, 소프트웨어적, 또는 하드웨어 오류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 중 하드웨어, 그중 RAM에 문제가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도구가 Windows 메모리 진단 도구이다. 도구 실행 Windows 11에서는 '제어판 > Windows Tools'에서, Windows 10에서는 '제어판 > 관리 도구'에서 Windows 메모리 진단을 찾을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면 된다. 검사 옵션 진단 도구가 실행되면 컴퓨터가 다시 실행되며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이대로 그냥 두면 검사.. 2023. 5. 21. “Show or hide updates” troubleshooter를 이용하여 특정 Windows 업데이트 숨기기 Windows 업데이트란 Windows 운영 체제의 기능과 보안을 개선하고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이를 통해 컴퓨터가 최신 상태로 유지되고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컴퓨터에 따라, 또는 해당 업데이트 자체에 문제가 있어 Windows 업데이트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Windows 10이 출시된 이후로 더욱 심해졌다. Windows 10과 11은 모두 업데이트를 연기할 수 있을 뿐, 나와있는 업데이트를 선택하여 설치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업데이트 연기'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문제를 해결한 업데이트 패치가 나올 때까지 기다릴 수도 있으나, 이는 현재 나와있는 모든 업데이트를 막는 것과 다름이 없기 때.. 2023. 5. 6. Windows에서 파일 해시(Hash)값 검사 해시 함수는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서 매우 빠른 데이터 검색을 위해 널리 사용된다.해시 함수는 결정론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해시 값이 다르다면 그 해시값에 대한 원래 데이터도 달라야 한다.이러한 성질 때문에, 해시 함수는 파일이 원본과 비교하여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몇몇 프로그램 개발자들은 자신의 가지고 있는 원본의 해시값을 같이 제공하는 경우가 있는데, 간혹 설명이 부족하여 해시값 검출을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그러나 많은 운영체제에서는 해시 검사 도구를 내장하고 있다.Windows의 경우, 내장된 툴인 Certutil과, PowerShell의 'Get-Fil.. 2023. 4. 16. Cipher /w: Cipher.exe는 Windows에서 제공하는 암호화된 데이터 관리 도구이다. 2001년에 Microsoft는 Cipher에 삭제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덮어쓰거나 삭제하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Cipher /w:"는 3 pass 방식을 이용하는데, 처음에는 0x00, 그다음은 0xff, 마지막으로 난수를 써서 데이터를 소거한다. 이 문단은 데이터 소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이유를 적어 놓은 것이다. 관심이 없다면 딱히 읽지 않아도 된다. 더보기 Windows를 비롯한 많은 운영체제와 파일 시스템에서는 파일을 삭제하면 파일의 전체 내용을 제거하지 않는다. 파일의 위치 데이터만 삭제하고, 남은 데이터는 이후 다른 파일 데이터에 의해 덮어 씌워지며 제거된다. 이러한 방식이 사용되는 이유는, 파일을 삭제할 때마.. 2023. 2. 8. Windows RE에 업데이트 적용하기 2023-01-10일 자로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업데이트와 함께 WinRE(Windows 복구 환경) 디바이스에 대한 특별 지침이 나왔다. WinRE(Windows Recovery Environment)가 있는 디바이스는 CVE-2022-41099의 보안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해 Windows와 WinRE를 모두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업데이트를 Windows에 정상적으로 설치해도 WinRE에서 이 보안 문제가 해결되지 않습니다. WinRE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은 CVE-2022-41099를 참조하세요. 이 글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Windows RE에 업데이트를 적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실행 중인 PC의 Windows 복구 이미지에 업데이트 및 수정 사항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해당.. 2023. 1. 11. Windows 서비스 생성 및 삭제 Windows 서비스는 오랜 시간 동안 실행되며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행 파일(.exe)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컴퓨터가 부팅될 때 자동으로 시작될 수 있으며, 일시 중지를 하거나 다시 시작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보통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는다. 이러한 서비스의 내용을 살펴보려면 '시작 메뉴 우클릭 > 컴퓨터 관리 > 서비스 및 응용 프로그램 > 서비스' 로 진입하면 서비스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svchost.exe'가 담당하는 '서비스 호스트'와 그 외 서비스 등록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컴퓨터 관리'의 '서비스' 항목을 살펴보면 이와 같은 서비스들을 따로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비스 항목들을 추가 삭제하기 위해서.. 2022. 12. 28. PCem PCem은 그 이름 그대로 PC 에뮬레이터이다. 가상의 컴퓨터라 하면 대부분 가상머신을 떠올릴 것이다. 가상머신은 컴퓨터가 만들어내는 가상의 컴퓨터를 의미한다. 흔히 VirtualBox, VMware 등을 가상머신이라 칭하는데, 이들 말고도 다양한 가상머신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가 바로 이 PCem이다. VirtualBox, VMware는 가상머신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하드웨어의 가상화 기능을 사용하지만, PCem은 에뮬레이션을 이용하여 , 말 그대로 해당하는 PC를 그대로 구현해 낸다. 그에 따른 장단점 또한 명확한데, 현대의 CPU 하드웨어 가상화 기능을 이용하는 VirtualBox, VMware는 최신 Windows를 무리 없이 실행할 수 있지만, PCem은 당시의 CPU를 에뮬레이션하므로 Windo.. 2022. 12. 26. Windows 파일 암호화 시스템(EFS)에 대한 정보 암호화 파일 시스템(Encrypting File System, EFS)은 Microsoft Windows에서 제공하는 개별 파일을 파일 시스템 단계에서 암호화하여 타인이 그 내용물을 볼 수 없게 하는 기능이다. EFS는 파일 암호화 키(FEK, File Encryption Key)라는 임의의 대칭 키를 생성하여 파일을 암호화한다. 암호화 원리 암호화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암호화 과정 파일을 FEK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 사용자의 공개 키를 이용하여 FEK를 암호화하고, 이 암호화한 FEK를 암호화 된 파일과 함께 저장한다. 복호화 과정 암호화 된 FEK가 저장된 파일에서 암호화 된 FEK를 가져온 후, EFS 인증서에 맞는 개인 키를 이용해 FEK를 복호화하고, 복호화 된 FEK를 이.. 2022. 12. 18. Windows 부팅, 종료 중 매우 자세한 상태 메시지 표시 이 글에서는 시작, 종료, 로그온 또는 로그오프 프로세스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상태 메시지를 표현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일반적인 사용자에게는 딱히 의미가 없지만, 만약 상기한 과정 중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본 글에서 소개하는 방법이 나름 유용할 수도 있다. 해당 설정을 활성화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는 방법과 로컬 그룹 정책을 변경하는 두 가지의 방법이 있다.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방법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고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System' 의 경로로 이동한다. 'VerboseStatus'키의 값을 '1'로 변경해주면 된다. 대부분의 .. 2022. 12. 5.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