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9

Windows RE'를' 복구하기 본 글은 Windows RE를 이용하여 손상된 Windows 본체를 복구하는 것이 아닌, Windows RE 그 자체를 복구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는 글이다. 안전 모드를 찾아왔다면 이리로 가면 된다. 안전 모드안전 모드란 일반 모드, 즉 일반적인 동작 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문제에 대한 원인과 그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하여 만들어진 모드이다. 이를 통해 일반 모드에서 할 수 없는 동작(접근 불가능sprout13.tistory.com 복구 파티션을 만들거나 제거하는 방법을 알고 싶다면 아래 접은 글의 문서를 참고하면 좋다.더보기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hardware/manufacture/desktop/capture-and-apply-windows-sy.. 2022. 12. 5.
현재 위치 업그레이드 Windows에서 말하는 현재 위치 업그레이드는 기존의 Windows에서 더 높은 버전의 Windows로 업그레이드할 때 이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현재 위치 업그레이드를 Windows 업그레이드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Windows의 구성 요소만 교체하고 다른 파일들을 건드리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해 Windows의 구성 요소가 손상되었을 때의 복구 수단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자신의 앱과 사용자 설정 등을 유지한 채로 Windows의 구성 요소를 교체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현재 위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1. 미디어 도구 다운로드 먼저 Microsoft 공식 사이트에서 미디어 만들기 도구를 다운로드하여야 한다. https://www.microso.. 2022. 12. 5.
작업 스케줄러를 이용한 Windows 부팅 시 프로그램 자동 시작 경우에 따라서 컴퓨터를 실행한 후 자동으로 시작되었으면 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시작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면 그것을 이용하면 되지만, 그럴 수 없는 경우에는 Windows 로그온 후 직접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하는 귀찮음이 생긴다. 작업 스케줄러를 이용하면 이러한 귀찮음에서 벗어날 수 있다. 작업 스케줄러란 지정한 시간에 컴퓨터에서 자동으로 수행하는 일반 작업을 만들고 관리하는 도구로, Windows의 기본 제공 도구이다. 본 글에서는 작업 스케줄러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작업을 만드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설명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ClearStandbyList_Windows.exe라는 프로그램이다. 해당 프로그램은 RAM의 '대기', 또는 '대기 모드'.. 2022. 11. 17.
ASSOC(파일 확장명 연결)를 이용하여 연결 프로그램 설정 1. 개요 ASSOC는 각 파일 확장자에 의해 연결된 프로그램을 나타내고, 이를 변경할 수 있는 도구이다. 설정에 있는 '연결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보다 편리하게 연결 프로그램을 바꿀 수 있지만, 간혹 해당 방법으로 조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 ASSOC를 이용할 수 있다. 'ASSOC'라고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의 목록이 뜬다. 2. 확장자와 프로그램 연결 .vhd확장자를 가진 가상 하드 디스크 파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VHD 확장자를 가진 파일은 현재 VirtualBox에 연결되어 있다. 이는 매우 불편한데, Windows에서 자체 제공하는 디스크 이미지 탑재 관리자를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디스크 관리'를 실행시켜 직접 탑재해야 한다). 따라서 이를 Windows 파일 .. 2022. 10. 6.
Winget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관리 1. 개요 Winget은 Microsoft에서 개발한 패키지 관리자로,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해 자신의 컴퓨터에 깔린 응용 프로그램들을 업데이트하거나 제거, 설치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Microsoft Store에서 앱 설치 관리자라는 이름으로 배포되고 있다. 여기서는 그 중 몇 가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명령 프롬프트를 열고 winget 이라 입력하면 도움말이 나온다. 여기서 소개되지 않은 내용은 이것을 통해 확인하도록 하자. 2.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들의 종류 및 앱 패키지명 확인 winget list 라 입력하면 사진과 같이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의 목록이 뜬다. 이때 사진과 같이 정보가 나열되는데, 이를 통해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된 응용.. 2022. 9. 22.
안전 모드 1. 개요 안전 모드란 일반 모드, 즉 일반적인 동작 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문제에 대한 원인과 그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하여 만들어진 모드이다. 이를 통해 일반 모드에서 할 수 없는 동작(접근 불가능한 폴더에 접근, 설정 변경 등)을 행할 수 있으며, 일반 모드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활용된다. 2. 진입하는 방법 Windows RE로 진입하는 방법은 각 컴퓨터마다 다른데, 삼성같이 'F8 키'를 통해 Windows RE로 진입 가능한 컴퓨터라면 그냥 'F8 키'를 연타하여 진입하면 되지만, 많은 컴퓨터에서는 그 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 그러한 컴퓨터라면 설정 앱이나 'Shift + 다시 시작'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Windows RE로 진입하면 된다. 2.1... 2022. 9. 8.
Chkdsk를 이용한 디스크 파일 시스템 검사 1. 개요 chkdsk는 DOS 시절부터 사용되었던 디스크 파일 시스템 검사기로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 상태를 보여주고 논리 파일 시스템의 오류를 수정하는 유틸리티이다. System32 아래에 chkdsk.exe와 chkntfs.exe로 존재하는데, 둘 다 오류 수정 단계에서 chkdsk를 실행하므로 이 글에서는 chkdsk만 알아보도록 하자. chkdsk는 기본적으로 명령 프롬프트(CMD)를 통해 실행되는데, 이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Windows가 실행 중인 상태에서 CMD를 열고 chkdsk를 실행시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Windows 복구 모드인 Windows RE(Windows Recovery Environment)로 진입하여 명령 프롬프트 창을 열고 chkdsk를 실행하는 것이다... 2022. 8. 25.
VirtualBox Windows 9x 설치 & 부팅 오류 (잘못된 연산을 수행하여..) 1. 개요 가상 머신 VirtualBox를 이용해 Windows 9x(95, 98, ME)를 설치하면 그 과정에서 수많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글에서는 VirtualBox를 이용한 Windows 9x 설치 과정과 그중 위의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 VirtualBox 프로필 만들기 더보기 먼저 VirtualBox 가상 머신 프로필을 생성해야 한다. 도구 > 새로 만들기를 선택한다. 전문가 모드가 한눈에 들어오고 편하니 전문가 모드를 추천한다. Windows 98의 메모리 요구 사항은 최소 16MB, 권장 24MB 이상, 최대 1GB 이하이다. 여유 있게 128MB 정도로 잡아주자. 나중에 조절할 수 있다. '파일 크기'는 가상 디스크의 용량이다. 여유 있게 2GB 이상 .. 2022. 8. 11.
파일 권한 설정하기 1. 개요 지난번 글에서 블루스크린이 발생한 이후 생긴 Dumpstack.log는 블루스크린 발생 후 어떠한 방법으로 작업을 수행했는지를 기록한 파일이다. 그러나 파일을 열려고 하면 다음과 같이 권한이 없다며 열리지 않는다. 이 글에서는 권한을 파일에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2. 파일 탐색기를 이용하여 권한 부여하기 파일을 우클릭하여 나오는 컨텍스트 메뉴의 속성을 클릭한다. 다음과 같은 속성 창이 뜬다. '보안' 항목을 클릭한다. '고급' 항목을 클릭한다. 관리자 권한으로 계속한다. 표준 사용자(Users)에 대한 권한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권한 항목을 만들어주어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추가'를 클릭한다. '보안 주체 선택'을 클릭하여 창을 연다. 개체 이름.. 2022. 7.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