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9

NETSTAT을 이용하여 Windows에서 활성화된 포트 확인 Windows에서 활성화된 포트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내장 유틸리티인 NETSTAT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netstat 활성 TCP 연결, 컴퓨터가 수신 대기 중인 포트, 이더넷 통계, IP 라우팅 테이블, IPv4 통계 및 IPv6 통계를 표시하는 netstat 명령에 대한 참조 문서입니다. learn.microsoft.com NETSTAT은 Windows 내장 유틸리티로, 프로토콜 통계와 현재 TCP/IP 연결을 표시한다. 해당 유틸리티는 System32 디렉터리에 존재한다.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과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현재 활성화된 포트가 무엇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포트를 이용했다간, 해당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2024. 2. 1.
Oracle Cloud #5 - 스왑 파일 만들기 이전 글에서, 인스턴스를 처음 만들면 운영체제에서 디스크 스왑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한 바 있다.이용자에 따라, 굳이 디스크 스왑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서버 운영체제이기에 GUI와 같은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는 요소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디스크 스왑을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는 사용하는 것이 낫다. Linux에 스왑 파일을 설정하는 글에서 스왑 파일의 동작 방식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 바 있다. Linux Mint에서 스왑 파일을 이용하여 디스크 스왑 사용하기리눅스에서의 디스크 스왑이란, 물리적인 메모리, 즉 RAM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 보조기억장치(SSD, HDD 등)을 메모리 대용으로 사용하는 메모리 관리 기술을 말한다. Windows에서는 가상 메모리 및sprout13.tistor.. 2024. 1. 15.
Oracle Cloud #4 - APT UPDATE && APT UPGRADE 지난 글에서 APT에 대해 알아본 바 있다. Linux Mint에서 APT를 이용하여 패키지 업데이트하기 APT(Advenced Package Tool)란 Debian 계열 Linux에서 사용하는 고급 패키지 도구이다. 이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Debian 계열 Linux에서 쉽게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다. Ubuntu나 Linux Mint와 같이 sprout13.tistory.com Oracle Cloud 인스턴스에서 Debian 계열의 운영체제를 이용하고 있다면 당연히 APT를 이용하여 패키지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인스턴스를 실행한 후, 터미널에 나타나는 안내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문구를 볼 수 있다. 한마디로,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패키지들이 오래된 버전이니, 업데이트해서 .. 2024. 1. 1.
Linux Mint에서 APT를 이용하여 패키지 업데이트하기 APT(Advenced Package Tool)란 Debian 계열 Linux에서 사용하는 고급 패키지 도구이다. 이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Debian 계열 Linux에서 쉽게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다. Ubuntu나 Linux Mint와 같이 사용자에게 널리 사용되는 Linux 배포판의 상당수가 Debian을 기반으로 하므로, 당연히 이러한 배포판에서도 APT를 사용한다. Debian 계열이 아닌 다른 배포판은 APT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역시 패키지 관리자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Fedora 계열은 DNF를, Arch Linux 계열은 pacman을 이용한다. APT와 같은 패키지 관리자가 중요한 이유는 상당수의 리눅스 소프트웨어가 이러한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기 때.. 2024. 1. 1.
Linux Mint에서 스왑 파티션을 이용하여 디스크 스왑 사용하기 이전 글에서는 스왑 파일을 이용하여 디스크 스왑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본 바 있다. Linux Mint에서 스왑 파일을 이용하여 디스크 스왑 사용하기리눅스에서의 디스크 스왑이란, 물리적인 메모리, 즉 RAM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 보조기억장치(SSD, HDD 등)을 메모리 대용으로 사용하는 메모리 관리 기술을 말한다. Windows에서는 가상 메모리 및sprout13.tistory.com이 글에서는 스왑 파티션을 생성하여 디스크 스왑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볼 것이다.스왑 파티션을 사용하여 디스크 스왑을 사용하는 방법은 스왑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보다 분명한 장점이 존재한다.스왑 파티션을 사용하면, 전용 파티션을 생성한 후, 전용 스왑 볼륨을 포맷한 뒤, 격리한다. 이 볼륨은 파일 관리자에서 접근.. 2023. 12. 16.
Linux Mint 업데이트 오류 많은 운영체제가 그렇듯이, Linux Mint에도 업데이트 관련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Linux는 미러 서버에서 업데이트 패키지를 받아오는데,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다음을 가져오는 데 실패했습니다: http://packages.linuxmint.com/pool/main/m/mintupdate/mintupdate_6.0.3_all.deb /var/cache/apt/archives/partial/mintupdate_6.0.3_all.deb 파일을 열 수 없습니다-open (2: 그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없습니다) [IP:68.235.39.11 80] 필자는 전에 올린 글에서의 운영 체제 이동 후 해당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Linux Mint에서 Timeshift를.. 2023. 12. 1.
Oracle Cloud #3 - SSH를 이용하여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저번 글에서 클라우드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 바 있다. Oracle Cloud #2 - 인스턴스 만들기 저번 글에서 Oracle Cloud를 사용하기 위해 회원가입을 하는 방법을 설명한 바 있다. ORACLE Cloud #1 - 가입하기 전에 필자는 MS Azure for Students에 가입하는 법에 대해 글을 쓴 바 있다. Azure for Students #1 - sprout13.tistory.com 이 글에서는 Windows 11에서 해당 인스턴스에 어떻게 접속하는지 알아볼 것이다. 타 운영체제에서 어떻게 접속하는지 알고 싶다면 이 문서를 읽으면 된다. Connecting to a Linux Instance docs.oracle.com 인스턴스 실행 당연하게도, 가장 먼저 인스턴.. 2023. 12. 1.
Oracle Cloud #2 - 인스턴스 만들기 저번 글에서 Oracle Cloud를 사용하기 위해 회원가입을 하는 방법을 설명한 바 있다. ORACLE Cloud #1 - 가입하기 전에 필자는 MS Azure for Students에 가입하는 법에 대해 글을 쓴 바 있다. Azure for Students #1 - 가입하기 Microsoft Azure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으로,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서 sprout13.tistory.com 계정을 생성하였으므로 이제 할 일은 클라우드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이다. 클라우드 계정을 만들었으면 이제 인스턴스를 만들어야 한다. 아래로 페이지를 내리면 친절하게도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데 사용가능한 여러 도구들이 있다. "VM 인스턴스 생성"을 누른다. 위 이미지와 같은 화면이 뜰 것이.. 2023. 12. 1.
Linux Mint에서 스왑 파일을 이용하여 디스크 스왑 사용하기 리눅스에서의 디스크 스왑이란, 물리적인 메모리, 즉 RAM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 보조기억장치(SSD, HDD 등)를 메모리 대용으로 사용하는 메모리 관리 기술을 말한다. Windows에서는 가상 메모리 및 페이징 파일 기술이 이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물론 Linux의 디스크 스왑과 Windows의 가상 메모리 및 페이징 파일은 완벽히 동일한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이들의 존재로 인하여 운영체제는 실제로 장착된 메모리의 용량이 부족해도, 디스크 스왑의 힘을 빌려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모든 메모리 용량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은 아니지만, 디스크 스왑을 이용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면 당연히 디스크 스왑 기능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편이 좋다. 프로그램의 퍼포먼스가 떨어지지만, 어쨌든 프로.. 2023. 11.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