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76 NETSTAT을 이용하여 Windows에서 활성화된 포트 확인 Windows에서 활성화된 포트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내장 유틸리티인 NETSTAT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netstat 활성 TCP 연결, 컴퓨터가 수신 대기 중인 포트, 이더넷 통계, IP 라우팅 테이블, IPv4 통계 및 IPv6 통계를 표시하는 netstat 명령에 대한 참조 문서입니다. learn.microsoft.com NETSTAT은 Windows 내장 유틸리티로, 프로토콜 통계와 현재 TCP/IP 연결을 표시한다. 해당 유틸리티는 System32 디렉터리에 존재한다.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과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현재 활성화된 포트가 무엇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포트를 이용했다간, 해당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2024. 2. 1. Linux Mint에서 APT를 이용하여 패키지 업데이트하기 APT(Advenced Package Tool)란 Debian 계열 Linux에서 사용하는 고급 패키지 도구이다. 이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Debian 계열 Linux에서 쉽게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다. Ubuntu나 Linux Mint와 같이 사용자에게 널리 사용되는 Linux 배포판의 상당수가 Debian을 기반으로 하므로, 당연히 이러한 배포판에서도 APT를 사용한다. Debian 계열이 아닌 다른 배포판은 APT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역시 패키지 관리자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Fedora 계열은 DNF를, Arch Linux 계열은 pacman을 이용한다. APT와 같은 패키지 관리자가 중요한 이유는 상당수의 리눅스 소프트웨어가 이러한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기 때.. 2024. 1. 1. Linux Mint에서 스왑 파티션을 이용하여 디스크 스왑 사용하기 이전 글에서는 스왑 파일을 이용하여 디스크 스왑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본 바 있다. Linux Mint에서 스왑 파일을 이용하여 디스크 스왑 사용하기리눅스에서의 디스크 스왑이란, 물리적인 메모리, 즉 RAM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 보조기억장치(SSD, HDD 등)을 메모리 대용으로 사용하는 메모리 관리 기술을 말한다. Windows에서는 가상 메모리 및sprout13.tistory.com이 글에서는 스왑 파티션을 생성하여 디스크 스왑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볼 것이다.스왑 파티션을 사용하여 디스크 스왑을 사용하는 방법은 스왑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보다 분명한 장점이 존재한다.스왑 파티션을 사용하면, 전용 파티션을 생성한 후, 전용 스왑 볼륨을 포맷한 뒤, 격리한다. 이 볼륨은 파일 관리자에서 접근.. 2023. 12. 16. Linux Mint 업데이트 오류 많은 운영체제가 그렇듯이, Linux Mint에도 업데이트 관련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Linux는 미러 서버에서 업데이트 패키지를 받아오는데,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다음을 가져오는 데 실패했습니다: http://packages.linuxmint.com/pool/main/m/mintupdate/mintupdate_6.0.3_all.deb /var/cache/apt/archives/partial/mintupdate_6.0.3_all.deb 파일을 열 수 없습니다-open (2: 그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없습니다) [IP:68.235.39.11 80] 필자는 전에 올린 글에서의 운영 체제 이동 후 해당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Linux Mint에서 Timeshift를.. 2023. 12. 1. Linux Mint에서 스왑 파일을 이용하여 디스크 스왑 사용하기 리눅스에서의 디스크 스왑이란, 물리적인 메모리, 즉 RAM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 보조기억장치(SSD, HDD 등)를 메모리 대용으로 사용하는 메모리 관리 기술을 말한다. Windows에서는 가상 메모리 및 페이징 파일 기술이 이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물론 Linux의 디스크 스왑과 Windows의 가상 메모리 및 페이징 파일은 완벽히 동일한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이들의 존재로 인하여 운영체제는 실제로 장착된 메모리의 용량이 부족해도, 디스크 스왑의 힘을 빌려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모든 메모리 용량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은 아니지만, 디스크 스왑을 이용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면 당연히 디스크 스왑 기능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편이 좋다. 프로그램의 퍼포먼스가 떨어지지만, 어쨌든 프로.. 2023. 11. 30. PCem #3 - MS-DOS에서 CD 드라이브 인식시키기 저번 글에서 PCem에 MS-DOS 6.2를 설치하는 법을 알아본 바 있다. PCem #2 - MS-DOS 6.2 설치하기 이전 글에서 PCem으로 Windows 95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본바 있다. PCem PCem은 그 이름 그대로 PC 에뮬레이터이다. 가상의 컴퓨터라 하면 대부분 가상머신을 떠올릴 것이다. 가상머신은 컴퓨터가 만 sprout13.tistory.com MS-DOS의 사소한 문제가 있다면, CD 드라이브를 인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CD를 인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과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MS-DOS에서 CD 드라이브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드라이버가 있으니, 바로 "MSCDEX.EXE".. 2023. 11. 22. PCem #2 - MS-DOS 6.2 설치하기 이전 글에서 PCem으로 Windows 95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본바 있다. PCem PCem은 그 이름 그대로 PC 에뮬레이터이다. 가상의 컴퓨터라 하면 대부분 가상머신을 떠올릴 것이다. 가상머신은 컴퓨터가 만들어내는 가상의 컴퓨터를 의미한다. 흔히 VirtualBox, VMware 등을 가상머 sprout13.tistory.com 이 글에서는 PCem을 이용해 MS-DOS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볼 것이다. MS-DOS 설치 디스켓은 아래 접은 글에 첨부되어 있다. 더보기 1. 프로필 설정 가장 먼저 에뮬레이팅 할 컴퓨터 프로필을 생성해 주어야 한다. [+] 단추를 눌러 새로 컴퓨터 프로필을 만든다. 새로운 설정 프로필의 이름을 지정한다. [OK]를 누르면 머신 설정이 뜬다. 1.1. CPU-메인보드.. 2023. 11. 19. Windows에서 마우스 포인터 위치 표시하기 어떤 운영체제이든 GUI환경에서 마우스를 사용하다 보면 마우스 커서가 어디로 갔는지 찾을 수 없을 때가 많다. 큰 모니터를 사용할수록 더더욱 그렇다. 이럴 때를 대비한 것인지 Windows에는 [Ctrl] 키를 눌러서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이 존재한다. 이를 설정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마우스 속성'을 연다. 설정에서 [Bluetooth 및 장치 > 마우스 > 더 많은 마우스 설정]을 누르거나, 검색에서 [마우스 포인터 표시 또는 속성 변경]을 누른다. '포인터 옵션'으로 이동하여 [ 키를 누르면 포인터 위치 표시]를 선택한다. 이제 [Ctrl] 키를 누르면 포인터 위치가 표시된다. 그 외 다른 프로그램으로 마우스 포인터 위치 찾기 이걸로도 마우스 포인터 위치가 잘 보이지 않는다면 별도의 .. 2023. 10. 22. 연결 프로그램 초기화(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응용 프로그램 초기화) Windows를 사용하다 보면, 여러 파일들의 확장자를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에 연결해 두고 사용하게 된다. 이전 글인 ASSOC를 이용하여 파일 확장명 연결을 설정하는 것도 이것의 일종이다. ASSOC(파일 확장명 연결)를 이용하여 연결 프로그램 설정 1. 개요 ASSOC는 각 파일 확장자에 의해 연결된 프로그램을 나타내고, 이를 변경할 수 있는 도구이다. 설정에 있는 '연결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보다 편리하게 연결 프로그램을 바꿀 수 있지만, 간 sprout13.tistory.com 불행히도, 이렇게 연결 프로그램을 설정하다 보면, 간혹 연결하지 말아야 하는 확장명이 응용 프로그램에 연결될 때가 있다. 그러나 알다시피, 연결 프로그램 기능은 확장명과 응용 프로그램을 연결해 줄 뿐, 확장명과 응용 프로그.. 2023. 10. 22. Windows 11 개발자 드라이브(ReFS) 만들기 Windows 11 Moment 4 "2023년 9월 26일 — KB5030310(OS 빌드 22621.2361) 미리 보기"가 릴리스 되었다. KB5030310은 Windows 11 23H2에 추가되는 내용들을 미리 볼 수 있는 22H2 업데이트로, 이 업데이트에 Windows Copilot, 메모장 자동 저장 기능, 새로운 파일 탐색기, Wi-Fi 네트워크 암호 열람 기능, 빠른 설정 볼륨 믹서 등의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 그중 이 글에서 소개할 내용은 ReFS에 관한 것이다. ReFS(Resilient File System, 복원 파일 시스템)은 그 이름대로, 실시간으로 파일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기능이 있는 Microsoft의 최신 파일 시스템이다. ReFS는 Windows 8.1부터 사용 가능.. 2023. 9. 28. Windows에서 가상 하드 디스크로 부팅하기 전에 말했듯, 필자는 가상머신에 여러 운영체제를 올려 사용하고 있다. 이 중에서는 그냥 만져보려고 설치하는 운영체제가 있는 한편, 실제로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운영체제 또한 있다. 이런 운영체제들을 간편하게 사용하게 위해서는 가상머신만 한 것이 없다. 그러나 동시에, 가상머신은 한 가지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있는데, 바로 가상머신이 네이티브 컴퓨터를 완벽하게 대체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일례로, VirtualBox의 경우, 게스트로 Windows 운영체제를 이용하면 하드웨어 가속 시 그래픽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몇몇 경우에는 가상머신을 사용하지 못하고, 네이티브 컴퓨터를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가상머신을 이용하는 이유는 해당 컴퓨팅 환경을 기존의 컴퓨팅 환경에서 분리하기 .. 2023. 9. 27. GRUB 테마 수정 GRUB는 GNU 프로젝트의 부트로더로, GRand Unified Bootloader의 약어이다. 운영체제 대부분을 지원하며, 그 목록에는 Linux는 물론이고 BSD, 심지어는 Windows까지 지원한다.GRUB의 기본 모습은 흔한 부트로더의 화면처럼 단순한 모습이다. 그러나, GRUB는 이 부트로더 화면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위 이미지와 같이 다양한 테마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이 글에서는 GRUB 커스터마이징 방법을 안내할 것이다.이 글에 사용된 운영체제와 테마는 각각 Linux Mint와 Tela grub theme이다.테마 다운로드테마를 다운로드한다.Tela grub theme를 다운로드하여도 되고, GRUB 테마를 모아둔 사이트나 기타 다른 사이트에서 테마를 찾아도 된다. Browse .. 2023. 9. 24. 이전 1 2 3 4 5 ··· 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