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76

Windows RE 파티션 크기 조절하기 1. 개요 여느 때나 다름없이 컴퓨터를 만지작 거리던 중, Windows RE 파티션의 크기가 아슬아슬하게 남아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Windows가 업데이트를 진행하거나, 현재 위치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면 Windows RE 이미지 역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업데이트와는 달리, Windows RE 이미지의 업데이트는 최신 버전의 Windows RE 이미지가 이전 버전의 이미지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업데이트를 하면 기본적으로 내용이 추가되고, 이에 따라 이미지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게 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언젠가는 Windows RE 이미지의 크기가 복구 파티션의 크기보다 커지는 지점이 오게 된다. 이런 경우, Windows 업데이트 프로.. 2023. 9. 5.
DISM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Windows에 업데이트 패키지 추가 DISM(Deployment Image Servicing and Management tool)을 이용하여 Windows 오프라인 이미지에 업데이트 패키지를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Windows RE 이미지에 업데이트를 추가하는 방법을 알고 싶다면 이 글로 가면 된다. Windows RE에 업데이트 적용하기 2023-01-10일 자로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업데이트와 함께 WinRE(Windows 복구 환경) 디바이스에 대한 특별 지침이 나왔다. WinRE(Windows Recovery Environment)가 있는 디바이스는 CVE-2022-41099의 보안 취약성을 해 sprout13.tistory.com 필자는 인터넷을 연결하지 않은 상태의 Windows 10을 가상머신에서 이용하고 있다. 이렇게 인.. 2023. 9. 4.
Windows에서 S1-S3 절전 모드 설정 최신 대기(Modern Standby) 모드란 Windows 8부터 도입된 전원 모델이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최신 대기 모드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처럼 즉시 사용할 수 있고 백그라운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에 반해 S1-S3 전원 모델은 이전의 전원 모델로, 대부분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끄기 때문에, 절전 모드로 들어가고 다시 켜질 때까지 많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연결을 끊는다. 이렇게 보면 작업 환경적 측면에서는 최신 대기 모드가 레거시 S1-S3 모드 보다 더 나아 보인다. 상술하였듯, 스마트폰처럼 즉시 사용할 수 있고 백그라운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신 대기 모드는 이 때문에 예상치 못한 곳이서 문제를 일으키고 말았다. 바로 .. 2023. 8. 29.
사용자가 입력한 PowerShell Cmdlet 기록 찾기 Microsoft PowerShell은 명령줄 셸, 스크립팅 언어 및 구성 관리 프레임워크로 구성된 플랫폼 간 작업 자동화 솔루션이다. 이러한 이유로 Windows에도 PowerShell이 기본 cli 도구로 탑재되어 있다. PowerShell이 주로 고급 사용자에게 사용되는 만큼, PowerShell은 현재 세션에서 실행한 모든 명령의 기록을 유지하고, 이를 조회하거나 검색할 수 있는 여러 cmdlet을 제공하는 기능이 있다. 이 기능 덕분에, PowerShell을 킨 후, 위아래 방향키를 눌러 이전에 입력한 cmdlet을 불러올 수 있다. PowerShell 명령 기록은 PSReadline 모듈에 의해 텍스트 파일로 기록되며, 이 글에서는 해당 기록의 위치 및 해당 기록을 열람하는 방법, 기록 기능에.. 2023. 8. 22.
유효성 검사 OS를 이용한 Windows 무결성 검사 이번 글은 이 글과 이 글에 이은 3번째 Windows 무결성 검사 시리즈이다. Windows 무결성 검사(SFC, DISM) Windows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뭔가 나사가 빠진듯한 증상을 보일 때가 있다. Windows 파일이 손상되거나 하는 이유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때가 있는데, 이럴 때 우선적으로 사용해 볼 수 있는 sprout13.tistory.com 오프라인 디렉터리에서의 Windows 무결성 검사 이 글은 전에 쓴 Windows 무결성 검사(SFC, DISM)의 연장선상에 있는 글로, Windows RE 또는 다른 Windows를 통한 오프라인 Windows의 무결성 검사 방법을 안내하는 글이다. Windows 무결성 검사(SFC, DISM) Windows sprout13.tistory.. 2023. 8. 21.
고급 사용자 계정 제어판(Netplwiz)을 이용한 계정 설정 이 글에서는 고급 사용자 계정 제어판을 이용한 사용자 계정을 설정 방법을 소개한다. 고급 사용자 계정 제어판(Netplwiz)은 사용자 암호, 컴퓨터 권한, 기타 설정을 설정할 수 있는 도구이다. 해당 프로그램은 'System32'폴더 아래에 존재한다. 고급 사용자 계정 제어판 실행 고급 사용자 계정 제어판을 실행하려면 'Windows 키'+'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Netplwiz"를 입력하거나 '검색'에 "Netplwiz"를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위와 같은 창이 뜬다. 계정 추가 먼저 Netplwiz를 이용한 계정 추가 방법이다. [추가(D)...]를 누르면 새 창에서 계정 생성 창이 뜬다.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면 위와 같은 창이 뜨게 된다.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새 계정을 .. 2023. 8. 21.
오프라인 디렉터리에서의 Windows 무결성 검사 이 글은 전에 쓴 Windows 무결성 검사(SFC, DISM)의 연장선상에 있는 글로, Windows RE 또는 다른 Windows를 통한 오프라인 Windows의 무결성 검사 방법을 안내하는 글이다. Windows 무결성 검사(SFC, DISM) Windows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뭔가 나사가 빠진듯한 증상을 보일 때가 있다. Windows 파일이 손상되거나 하는 이유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때가 있는데, 이럴 때 우선적으로 사용해 볼 수 있는 sprout13.tistory.com 이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Windows RE로 진입하거나, 다른 Windows 운영체제에 검사하고자 하는 드라이브를 마운트 하여야 한다. 이 글에서는 Windows RE를 통한 무결성 검사를 기준으로 안내한다. 검사 .. 2023. 8. 18.
GodMode (Windows 설정 및 제어판 모음) 제어판은 Windows의 시스템 유틸리티로, 이를 이용하여 설치된 프로그램과 시스템 행동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다. Windows 8부터는 설정 앱이 추가되었고, Windows 10과 11을 거치며 제어판의 많은 기능들이 설정 앱으로 이동하였다. 이제 제어판에 남아있는 기능들은 주로 일반 사용자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 고급 기능이거나 호환성을 위해 남겨둔 기능들이다. Microsoft는 Windows에서 제어판의 영향을 줄이고 설정 앱의 영향을 늘리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Windows 10과 11은, 흔히 'GodMode'라고 부르는 숨겨진 기능이 있다. 이 기능은 제어판과 설정의 옵션들을 편리하게 모아놓은 것으로, 설정을 자주 변경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하며 생성하여 사용할 가치가 있다. 해.. 2023. 8. 15.
"[Ctrl + Alt + Del]을 눌러서 로그인" 설정하기 Windows에서는 잠금 화면에서 사용자가 [Ctrl + Alt + Del]을 눌러야 로그인을 할 수 있게끔 하는 설정을 제공한다. Windows의 고급 사용자 계정 제어판에서는 '이 설정을 사용하면 인증된 Windows 로그인 화면이 표시되므로 암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로그인을 가장하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라고 안내한다. 이 글에서는 '고급 사용자 계정 제어판'과 '로컬 보안 정책'을 사용하여 이 '[Ctrl + Alt + Del]을 눌러 로그인' 설정을 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고급 사용자 계정 제어판을 이용하는 방법 먼저 '고급 사용자 계정 제어판'을 이용하여 [Ctrl + Alt + Del]을 눌러 로그인' 설정을 하는 방법이다. 검색 상자에서 "netplwiz"를 입.. 2023. 8. 10.
Linux Mint에서 Timeshift를 이용하여 디스크 백업 및 복사하는 방법 필자는 VirtualBox에 Linux Mint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언제나처럼 Linux Mint를 사용하던 중, 용량이 부족하다는 메시지가 떴다. 그냥 무시하고 사용할 수도 있지만, 업데이트 등의 이유로 용량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에, 조금 더 큰 용량의 디스크 이미지로 운영 체제를 이동해 주기로 하였다. 이때, Windows처럼 새로운 디스크에 처음부터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일명 '클린 설치'를 할 수도 있지만, 운영 체제를 재설치한 후, 사용자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 주는 것은 귀찮은 일이다. 그렇다면 기존의 운영체제를 그대로 새 디스크로 옮겨 주어야 한다는 말인데, 이런 경우 보통 디스크 마이그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디스크의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 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필자의 .. 2023. 8. 6.
'Windows 설정'을 이용하여 간단히 내 드라이브의 남은 수명을 확인하는 법 SSD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면 '수명'에 관한 이야기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이는 SSD가 플래시 메모리 기반이기 때문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셀에 전자를 넣었다 뺐다 하는 과정에서 셀에 피로가 쌓이고, 피로가 누적되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2023년 현재, SSD의 내구성은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수준까지 올라온 상태이다. 일례로, 삼성전자의 SSD 중 하나인 PM9A1의 TBW(TeraByte Written)는 약 600 TBW이라고 하는데, 이는 최소 600TB를 기록해야 해당 SSD가 사망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SSD의 수명을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내 SSD의 수명이 얼마나 남았는지 궁금한 사람.. 2023. 7. 30.
Windows '라이브 캡션'을 이용하여 자막 띄우기 Windows의 '라이브 캡션(Live Caption)'은 오디오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를 감지하고 에 대한 자막을 띄울 수 있다. 그동안 라이브 캡션은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았으나, 2023년 6월 27일 배포된 KB5027303 (OS 빌드 22621.1928) 미리 보기 업데이트를 통해 라이브 캡션이 한국어를 지원하게 되었다. 라이브 캡션을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Windows 로고 키 + Ctrl + L' 단축키를 눌러 라이브 캡션을 바로 킬 수 있다. 빠른 설정의 접근성 > 라이브 캡션 토글을 키는 방법으로도 라이브 캡션을 킬 수 있다. 라이브 캡션의 설정 버튼을 눌러서 각종 설정을 할 수 있다. 가장 위의 '위치' 항목은 라이브 캡션의 위치를 지.. 2023. 6. 30.
728x90
반응형